주님께서 우리를 소외된 사람들에게 보내셨습니다.
예루살렘에 가까운 감란 산 벳바게와 베다니에 이르렀을 때 예수님은 제자들 중 둘을 보내셨다(마가복음11:1)는 말씀을 묵상할 때 2가지를 생각하게 됩니다:
(1) “예루살렘에 가까운”(마가복음11:1, 현대인의 성경)이란 말씀을 묵상할 때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으로 올라가는 길에” “다시 열 두 제자를 가까이 불러 자기가 앞으로 당할 일을”(10:32, 현대인의 성경) 말씀하신 마가복음 10장 33-34절 현대인의 성경 말씀이 생각납니다: “지금 우리는 예루살렘으로 올라가고 있다. 거기서 나는 대제사장들과 율법학자들의 손에 넘어갈 것이다. 그들은 나에게 사형 선고를 내린 다음 나를 이방인들에게 넘겨줄 것이며 이방인들은 나를 조롱하고 침 뱉고 채찍질하고 죽일 것이다. 그러나 나는 3일 만에 다시 살아날 것이다.” 즉,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에 가까운 감람산 기슭, 벳바게와 베다니에”(11:1, 현대인의 성경) 가신 목적은 예루살렘에 입성하여 대제사장들과 율법학자들의 손에 넘겨지시사 사형 선고를 받으시고 이방인들에게 넘겨져 조롱과 침 뱉음과 채찍질을 당하시고 죽기 위해서였습니다. 호크마에 의하면 “예루살렘 남쪽 1마일 앞에는 벳바게 마을이 있었고 약 2마일 밖 감란 산 동편에는 많은 감람나무로 유명한 약 2마일 정도 넓이의 베다니가 있었”으며 베다니에는 예수님이 유대에 계실 때 대체로 예수님의 숙소로 제공되었던 마리아 마르다 그리고 나사로의 집뿐만 아니라 문둥이 시몬의 집도 있었다고 합니다(호크마). “베다니는 소외된 사람들의 마을입니다. 사회로부터 냉대를 받던 마을 사람들의 상황과 마음을 반영해서 슬픔의 마을이라는 뜻으로 베다니로 불렸습니다”(인터넷). 흥미로운 점은 “베다니”는 ‘가난한 자의 집’ 또는 ‘종려나무 집’이라는 뜻으로 부르기도 한다는 것과 “벳바게”라는 히브리어는 ‘벳’(집)이란 단어와 ‘파게’(처음 익은 무화과 열매)라는 단어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단어로서 결국 ‘무화과의 집’이란 뜻을 갖는다고 합니다. 그만큼 무화과 나무가 많고 열매가 많이 열리는 지역이 바로 벳바게라고 합니다(인터넷). 결국 예수님과 제자들이 이르렀던 예루살렘에 가까운 “감람 산 기슭, 벳바게와 베다니”(마가복음11:1, 현대인의 성경)는 감람 나무와 무화과 나무와 종려 나무가 많은 소외된 사람들의 마을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2) 예수님께서 제자들 중 둘을 보내셨다(마가복음11:1)는 말씀을 생각할 때 마가복음 9장 7-13, 30절 말씀을 묵상하게 됩니다. 7절 현대인의 성경 말씀입니다: “그리고 예수님은 열 두 제자를 불러 둘씩 짝지어 보내시며 더러운 귀신을 쫓아내는 권능을 주시고”[(개역개정) “열두 제자를 부르사 둘씩 둘씩 보내시며 더러운 귀신을 제어하는 권능을 주시고”]. 예수님께서는 보내시는 주님으로서 열 두 제자들을 부르사 그들에게 더러운 귀신을 제어하는 “권능”을 주시고 그들을 “둘씩 둘씩” 보내셨습니다. 예수님의 제자들은 주님께 보냄을 받은 자들로서 주님의 말씀에 순종하여 주님의 뜻을 이루어 드려야 하는 자들이었습니다. 그래서 30절을 보면 성경은 이렇게 말씀하고 있습니다: “사도들이 예수께 모여 자기들이 행한 것과 가르친 것을 낱낱이 고하니”[(현대인의 성경) “한편 사도들이 돌아와 자기들이 행하고 가르친 모든 일을 예수님께 보고하였다”]. 저는 이 말씀을 묵상할 때 몰몬교 사람들이 생각났습니다. 그들은 두 명씩 다니면서 전도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여호와의 증인들도 길가에서는 여러 명이 함께 걸어 다니면서 전도하지만 집집마다 다닐 때는 두 명씩 다니는 것 같습니다. 전도서 4장 9-12절 말씀이 생각났습니다. 그 말씀을 보면 솔로몬 왕은 헛되지 않고 무익하지 않은, 다시 말하면 유익한 것을 보았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 유익한 것은 두 사람이 한 사람보다 낫다는 것입니다. 9절 말씀입니다: “두 사람이 한 사람보다 나음은 저희가 수고함으로 좋은 상을 얻을 것임이라”. 두사람이 한 사람보다 나은 이유는 3가지입니다:
(a) 두 사람이 한 사람보다 나음은 한 사람이 넘어지면 또 다른 사람이 붙들어 일으켜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하면, 힘들 때 서로 도와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일 두 사람 중 하나가 넘어지면 다른 사람이 그를 도와 일으킬 수 있으나 혼자 있다가 넘어지면 그를 도와 일으켜 주는 자가 없으므로 그는 어려움을 당하게 된다”(10절, 현대인의 성경). 교회란 공동체는 힘들 때 서로 도와주는 공동체가 되야 합니다. 넘어지면 서로 붙들어 주고 힘을 주고 도와주는 공동체가 진정한 교회의 모습입니다.
(b) 두 사람이 한 사람보다 나음은 서로 위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추운 방에 두 사람이 함께 누우면 따뜻해진다. 그러나 혼자서 어떻게 따뜻해질 수 있겠는가?” (11절, 현대인의 성경) 서로 위로하며 격려하며 힘을 북돋아 주는 공동체가 진정한 교회의 모습입니다.
(c) 두 사람이 한 사람보다 나음은 합심하면 견고히 서서 능히 모든 역경을 이겨 나아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 사람으로서는 당해 낼 수 없는 공격도 두 사람이면 능히 막아낼 수 있으니 삼겹줄은 쉽게 끊어지지 않는다”(12절, 현대인의 성경). 서로 도와주며 위로할 뿐만 아니라 서로 보호해주며 모든 역경을 함께 이겨 나아가는 공동체가 진정한 교회의 모습입니다.